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취업과
창업

'묻지마 입사지원' 주의보...블랙리스트 오를 수도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최은석 한경 잡앤조이 기자) 취업이 어렵다 보니 일단 합격하고 보자는 생각에 아무 곳에나 지원서를 제출하는 이른바 ‘묻지마 지원’이 성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saramin.co.kr)이 기업 인사담당자 746명을 대상으로 ‘신입 공채 시 묻지마 지원자 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4.8%가 ‘있다’고 답했다.

전체 지원자 중 묻지마 지원자의 비율은 ‘30%’(21.7%) ‘20%’(19%) ‘50%’(17.2%) ‘10% 이하’(11.6%) 등의 순으로, 평균 39%인 것으로 집계됐다. 10명 중 4명은 묻지마 지원자로 간주되는 셈이다.

‘최근 1년간 묻지마 지원자의 비율’에 대해서는 ‘증가하는 추세’(68.1%)라는 응답이 ‘감소 추세’(5.2%)라는 응답보다 13배 이상 많았다.

묻지마 지원 여부는 ‘이력서’(51.6%)나 ‘자기소개서’(25.6%) 등에서 주로 판별되는 것으로 조사됐고, ‘면접전형에서 드러난다’는 응답도 22.2%나 됐다.

묻지마 지원 판단 근거로는 ‘지원동기 불분명’(54.8%·복수응답)이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기업정보를 잘 모름’(50%) ‘지원분야조차 헷갈려함’(45.3%) ‘지원기준 미달’(35.3%) ‘관계없는 스펙 일단 기재’(29.6%) ‘성의 없는 면접 태도’(24.7%) 등의 답변이 있었다.

특히 응답자의 72.4%는 ‘묻지마 지원자가 재지원 할 경우 필터링을 통해 무조건 탈락시킨다’고 답해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묻지마 지원자로 인한 회사 손실에 대해서는 ‘면접 불참으로 전형 진행 차질’(55.4%·복수응답)을 첫 번째로 꼽았다. 또 ‘서류검토 시간 길어짐’(39.6%) ‘서류검토 지연 등 일정에 차질 생김’(37.8%) ‘합격 후 조기퇴사자 발생’(32.4%) ‘재채용에 따른 비용 손실’(28.1%)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한편 현재 신입 지원자의 수준에 대해서는 ‘불만족’(30.3%)한다는 답변이 ‘만족’(17.6%)보다 많았다.

임민욱 사람인 홍보팀장은 “인사담당자들은 확고한 입사의지 없이 제출한 서류나 형식적인 면접 답변 등을 금방 구분해낸다”며 “혹시나 하는 기대감에 묻지마 지원을 하는 것은 시간 낭비는 물론 기업에도 손실을 주는 행동인 만큼 목표에 맞춰 전략적으로 준비하는 게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끝) /choies@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4.06.17(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