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性속의 경제史

윤종규 회장이 말한 '적절한 시점'은 언제일까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김은정 금융부 기자) 은행권 안팎에선 요즘 들어 부쩍 국민은행장 자리에 대한 얘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겸 국민은행장이 오는 11월 취임 1주년을 맞는 시기적인 이유와도 무관하지 않은 듯 합니다.

윤 회장은 지난해 취임하면서 “조직 안정을 위해 국민은행장을 겸임하겠다”면서도 “적절한 시점에 분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임영록 전 KB금융 회장과 이건호 전 국민은행장이 갈등을 겪은 직후라 빠르게 조직을 다잡을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었죠.

아마 은행권 안팎에서는 윤 회장이 당시 언급한 ‘적절한 시점’이 다가온 것 아니냐는 생각을 하는 듯 합니다. 저금리 등 은행업 환경이 좋진 않지만 국민은행은 올 상반기 순이익(7302억원)이 전년 동기 대비 33%가량 증가했습니다. 펀드 판매 증가 등으로 수수료 수입이 늘었고 주택도시보증공사 주식을 매각해 이익이 생긴 영향도 있었죠.

임금피크제와 희망퇴직 등으로 인력구조를 단계적으로 개선하고 있다는 평가도 받고 있습니다. 내분 사태를 딛고 어느 정도 안정을 찾았다는 말로도 이해할 수 있고요. 이렇다 보니 국민은행장 분리 가능성 얘기가 다시 불거지고 있는 겁니다.

금융당국도 금융지주 회장이 은행장을 겸직하는 데 부정적인 입장을 갖고 있습니다. 금융지주회사의 설립 취지에 맞지 않아 분리해 운영하는 게 옳다는 생각이죠.

사실 국내 은행업은 위기와 기회가 동시에 있는 변화기에 놓여 있습니다. 글로벌 경기 둔화라는 거시적인 문제를 빼고 말하더라도 계좌이동제 실시, 인터넷전문은행 설립 등 겪어보지 못한 국내 변수가 줄줄이 놓여 있습니다. KB금융은 전 LIG손해보험을 인수해 비은행 부분을 빠르게 키워나가고 있는 상황이라 금융지주 회장과 국민은행장의 겸임이 과연 옳은 것이냐 하는 말들이 나오고 있는 것이죠.

국민은행 내부 직원들의 생각은 좀 다른 듯 합니다. “이제야 다른 일 신경 안 쓰고 은행 본업만 고민하고 있는데, 다시 인사 문제로 시끌시끌해지는 게 불편하다”는 것이죠. 상품, 고객, 수익성 등 본업에 대한 스트레스야 얼마든지 견딜 수 있지만 줄 서기와 눈치보기가 뒤따르는 하마평에 은행 이름이 자꾸 오르내리는 것은 더 이상 싫다는 얘기로도 들렸습니다.

오히려 윤 회장의 겸임 이후 의사 결정이 빨라지고 업무 환경이 좋아졌다는 목소리도 많습니다. 국민은행이 10년간 제자리 걸음을 한데는 지배구조 탓이 컸기 때문에 윤 회장의 겸임이 국민은행에 도움이 된다는 설명입니다. 물론 사람마다 의견은 다를 수 있지만요. 연말 KB금융의 대규모 임원 인사와 조직 개편이 점쳐지고 있죠. 국민은행장 분리 가능성 문제는 좀 더 지켜봐야 할 듯 합니다. (끝) /kej@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4.06.29(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