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베네치아 몰락 초래한 '귀족 노조'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김동욱의 역사읽기) 베네치아나 제노바, 밀라노, 피렌체 같은 16세기 이탈리아 도시국가들의 쇠퇴원인은 무엇일까. 저명한 경제사가인 킨들버거를 비롯해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여러 복합적인 요인들(무역 및 생산의 약화, 에스파냐 및 포르투갈과의 경쟁에 따른 몰락, 해외시장 독점체제 붕괴, 목재 부족, 흉작, 기상악화 등)과 함께 ‘사치’를 쇠퇴의 원인으로 빼놓지 않는다.

‘사치’의 개념을 약간 느슨하게 넓게 잡고, 베네치아를 비롯한 쇠퇴기 이탈리아 도시국가들의 실상을 살펴보면 나라가 망하는데 사치는 곳곳에서 똬리를 틀고 있었다.

15세기 피렌체에선 사업으로 부를 축적한 지배층은 고대 전성기 아테네 시민계급처럼 그들의 부와 권력을 과시하려고 했다.

덕분에 이때는 르네상스기 예술가들의 호황기가 됐다. 로렌초 기베르티는 1425년부터 피렌체 세례당의 화려한 동쪽 현관문을 만드는 작업을 했다. 필리포 부르넬레스키는 피렌체가 10만 굴덴을 주고 수출항인 리보르노항구를 사들이던 해에 피렌체 대성당의 돔을 계획해 완수하도록 위촉받았다. 피렌체 시민들은 그들의 도시를 ‘제2의 아테네’로 만들고자 했다.

베네치아에선 15세기 갤리선에서 노를 저을 노수를 확보하는 게 힘들어지기 시작했다. 몰타섬 같은 식민지 출신 사람들과 죄수들까지 동원해서 갤리선 근무를 시켜야 할 정도로 경제 환경이 급변했다. 오스만튀르크에서 노예가 수입된 반면, 탁월한 항해 관련 기술을 지니고 있던 베네치아 뱃사람들은 보다 좋은 대우를 해주는 피사 등 다른 이탈리아 도시는 물론 멀리는 영국 함대로 까지 일자리를 옮겼다.

이 같은 상황에서 베네치아에서 이미 한자리를 차지한 선원들은 흰 담비 가죽으로 안을 댄 금색 옷과 같은 정교한 제복을 입기 시작했고, 점점 부패했다. 선원의 임금은 1550년대부터 1590년대까지 두 배로 올랐지만, 임금이 오른다고 선원난이 해소되는 것은 아니었다.

여기에 당시 최첨단을 달리던 금융 산업과 그에 따른 부의 창출이 결과적으로 베네치아나 피렌체 경제발전의 발목을 잡았다. 무역이라는 힘들고 위험한 일보다는 안전한 돈놀이가 더 많은 이익을 창출하면서 굳이 모험적인 사업을 할 필요성이 적어진 것이다. 위험을 회피하는 성향이 강해진 상인들은 해운업에서 자금을 빼서 주택과 점포, 공채로 돈을 돌렸다. 이 결과, 베네치아의 부자들은 세금 납부액을 크게 웃도는 단기 자산운영 소득을 올렸다. 이미 15세기에 크레타섬에서 베네치아로 이주 온 가족들의 삶에 대해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은 큰 재산을 모았고, 지금은 베네치아에 살면서 이자로 살고 있다”는 기술이 심심찮게 등장했다.

이런 상황에서 과시성 소비는 필연적으로 등장했다. 한번 자리 잡은 사치성 소비는 멈출 줄을 몰랐다. 베네치아 상류층에겐 의상과 시골 토지, 교외별장, 공공건물, 예술품 등이 모두 자신의 부를 과시하는 수단이자 대상이 돼 버렸다. 16세기 베네치아는 ‘향락의 본산(sede principalissima del piacere)’이라고 불렸다. 헨츠너의『여행기(1617)』에선 ‘향락의 천국’이라고 지칭됐다. 무엇보다 베네치아는 축제와 여자로 유명한 도시가 됐다.

사치풍조는 사회 전반적인 기강에도 영향을 미쳤다. 사회의 근무기강도 해이해졌다. 16세기 후반으로 가면 베네치아 경쟁력의 근간이던 조선 산업에서 배를 만드는 인부들의 작업은 늦어졌고, 작업 수준도 형편없어졌다. 이전에는 나이든 인부들만 정시보다 30분 일찍 끝마치는 게 허용됐지만 1601년에는 젊은 인부들도 나이든 인부들과 함께 작업장을 떠났다.

여기에 이탈리아 배들은 항해기간이 얼마나 걸리든 매일매일 선원들에게 급료를 지불하는데, 이 때문에 굳이 힘들고 위험하게 일할 필요 없이 가급적 폭풍을 피하고 항구에 머무르는 일이 많았다. 한마디로 베네치아 등 이탈리아 배들은 바람이 적게 불 때만 항구를 나서기 시작했다. 반면 영국 배들은 항해가 끝나야 보수를 받았기 때문에 폭풍을 무릅쓰고 항해에 나섰고, 이탈리아배가 한번 항해할 때 두 번 항해를 마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또 ‘돈맛’을 본 은행가들과 금리생활자들은 국내 산업에는 거의 돈을 투자하지 않고 더욱더 큰 이익을 얻겠다는 한탕주의에 빠져 외국에 점점 더 많은 돈을 빌려줬다. 하지만 이는 이탈리아 금융파산의 결정타로 돌아왔다. 베네치아 등 이탈리아 경제는 1619~1622년의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결정적으로 쇠퇴하기 시작한 뒤 회복되지 못했다. 앞서 바르디와 페루치, 알베르티 가문의 파산과 브뤼주와 리옹, 런던에 거액을 무절제하게 대출한 메디치은행이 1494년 파산한 데서 교훈을 얻지 못한 채 또다시 실책이 반복된 것이다.

여기에 도시국가들의 번영의 그늘에는 주변 농촌의 쇠퇴도 함께했다. 마이클 헤처와 윌리엄 부르스틴의 분석에 따르면 15세기 유럽대륙에서 ‘농민 반란’이 발생한 지역은 여지없이 베네치아, 제노바 인근 지역과 파리 인근 농촌지대, 브뤼셀과 연계된 라인강 연안지대, 런던 주변 지역 등 발전하던 상업도시 근처였다. 부가 일부 도시로 집중되면서 봉건적 토지귀족 전통엘리트들이 앞장서는 독특한 형태의 농민 반란이 빈발했다는 설명이다.

한국 자동차산업의 인건비가 지난 5년간 세계 주요 자동차 생산국 가운데 가장 많이 올랐다고 한다. 높은 임금과 노동 경직성 등으로 한국 자동차산업이 더 이상 경쟁력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많지만 현대자동차와 금호타이어 등에는 파업의 먹구름이 가득끼었다. 400여 년 전 머나먼 이탈리아 도시국가들 얘기지만, 이들 스토리에 등장하는 주체와 연도만 바꾼다면 오늘날 우리의 모습과 크게 다를 게 없는 풍경이란 생각이 든다. (끝)

***참고한 책***

찰스 P.킨들버거, 『경제강대국 흥망사 1500-1900』, 주경철 옮김, 까치 2004

베르너 좀바르트, 『사치와 자본주의』, 이상률 옮김, 문예출판사 1997

아르놀트 하우저,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근세편 上』, 백낙청·반성완 옮김, 창작과비평사 1980

John A. Marino, 『Early Modern Italy』,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George Holmes(Edited),『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Italy』,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Robert H. Bates,『Prosperity & Violence- The Political Economy of Development』, Norton 2001

오늘의 신문 - 2024.05.18(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