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취재 뒷 얘기

PC보다 모바일로 뉴스 보는 시대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최진순의 넷 세상) 스마트폰 보급 이후 모바일은 뉴스소비를 촉진하는 대표적인 플랫폼이 됐습니다. 언제 어디서나 정보이용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의 특성 덕분입니다.

미국 연구조사기관인 퓨리서치센터가 29일 공개한 '뉴스미디어 현황(2015)' 보고서에서도 그러한 흐름이 그대로 반영됐습니다. 미국 언론사 웹사이트 50곳 중 무려 39곳에서 모바일 트래픽이 데스크톱(PC) 트래픽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정형 단말기인 데스크톱이 아니라 이동형 단말기로 뉴스를 더 소비한다는 뜻인데요.

미국 최대 일간지 USA투데이를 비롯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가디언, 텔레그래프, 보스톤글로브 등 유력 신문사 대부분이 모바일 트래픽이 데스크톱 트래픽보다 많았습니다. 가히 '모바일 뉴스 시대'라고 할 수 있는데요.

그러나 내용을 조금 더 살펴 보면 모바일이 경제성과는 아직 거리가 있습니다. 온라인 독자의 성향도 여전히 '휘발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더 타임스’의 경우 온라인 방문자들의 평균 체류시간이 채 5분이 되지 않았습니다.

이 때문인지 모바일 유료 구독자들의 성장속도는 더딘 편입니다. 2014년 구독자 통계중 신문만 보는 경우는 56%로 절반이 훨씬 넘습니다. 또 신문+데스크톱, 신문+데스크톱+모바일까지 합하면 종이신문에 매여 있는 구독자가 78%에 이릅니다. 모바일만 구독하는 경우 5%를 비롯 종이신문을 구독하지 않는 순수 디지털 구독자는 23%에 불과합니다.

광고매출도 디지털은 아직 힘을 쓰지 못하고 있습니다. 종이신문 광고매출이 디지털 광고매출을 압도하는 경향은 여전합니다. 물론 종이신문 광고매출은 2005년 이후 반토막이 났습니다. 관건은 모바일을 비롯한 디지털 플랫폼에서 광고매출이 증가할 수 있겠느냐인데요. 국내와 비교할 수 없는 시장규모를 가진 미국 언론사도 고민의 크기는 같아 보입니다.

눈길을 국내로 돌려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한국 신문사들의 모바일 트래픽 비중도 늘고 있기는 합니다. 소셜 기반의 인터넷 미디어는 모바일 비중이 꽤 높지만 신문사의 경우는 평균 약 50% 안팎으로 추정됩니다.

한 중앙일간지 관계자는 "모바일 뉴스시장에서도 네이버 영향력이 여전하다. 그 때문인지 모바일 트래픽 비중이 40% 정도에 그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뉴스 부문의 경우 60% 안팎의 페이지뷰가 모바일에서 들어온다는 지상파방송사 관계자는 "모바일에서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소셜네트워크 앱에서 타고 들어오는 트래픽이 꽤 높다. PC보다 가능성이 더 있다."고 밝혔습니다. 언론사의 특성이나 여건에 따라 '온도' 차이를 느낄 수 있는 대목입니다.

문제는 모바일 이용자를 붙들 수 있는 방법입니다. 뉴스 클릭 이후 독자들의 활동을 담보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강정수 연세대커뮤니케이션 연구원은 "모바일 인터페이스에 최적화된 다음 뉴스 읽기 설계가 필요하다. 또 모바일에 맞는 기사 형식 즉, 유통하는 시간대에 따른 뉴스 형식 등도 고민해야 한다. 최근 버즈피드 보고서에서도 언급됐지만 방문자나 페이지뷰 등 지표 중심이 아니라 (매체가 가진) 임팩트 즉, 영향력에 기초해 비즈니스모델을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 디지털전략부 기자 (끝)

오늘의 신문 - 2025.02.04(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