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드론`에 대해 알아야 할 7가지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초경량비행장치인 드론(Drone)이 뜨고 있지요. '헬리캠'이라고도 부르는데요. 드론에 카메라를 부착하면 멋진 영상과 사진을 볼 수 있어 매력적이죠. 드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동호인들도 부쩍 늘고 있는데요.

현재 드론은 항공법상 150kg 이하인 무인동력비행장치 즉 무인비행장치에 속합니다. 그런데 언제든 '안전' 문제가 생길 수 있고 관련 법을 위반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예를 들면 12kg 이하의 초경량비행장치라도 비행금지구역-비행제한구역에서 비행해선 안됩니다.

까다로운 비행규정, 조종자 준수사항은 드론을 생각하는 사람들에겐 꼭 숙지해야 할 사항들입니다. 드론 상식 7가지를 정리해봤습니다.

첫째, 어디에서든 띄울 수 있다? 안 됩니다. 서울의 경우 청와대 근처는 드론을 띄울 수 없습니다. 광화문 일대, 신촌과 홍대도 어렵다고 보면 됩니다. 경기북부 쪽은 군사시설이 많아 비행할 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지방항공청장 등에 비행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제재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드론 비행이 가능한 곳은 10여곳에 한정돼 있습니다.

둘째, 장시간 비행이 가능하다? 안 됩니다. 드론 크기나 사양과 상관없이 약 20분 정도 비행할 수 있습니다. 리튬폴리머 배터리 때문인데요. 배터리를 병렬형태로 개조한 상업용 드론의 경우 30분 정도는 가능합니다. 이렇게 배터리를 늘릴 수는 있지만 기기 안정성에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셋째, 드론을 구입해서 바로 조종이 가능하다? 위험합니다. 조종 부주의로 인한 대인, 대물피해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시중 마트에서 판매하는 소형 완구류-쿼드콥터의 경우에도 성인이 약 1주일에서 보름 정도 조종기술을 배워야 합니다. 상업용 드론은 최소 한 달 이상 익혀야 어느 정도 무난한 조종이 가능합니다.

넷째, 드론은 보험상품이 없다? 아닙니다. 국내 보험사 2~3곳이 외국보험사 상품을 재판매하고 있습니다. 팬텀 기종의 경우 연간 약 50만원 짜리 보험상품이 있습니다. 대인, 대물피해만 보상이 됩니다. 단, 항공촬영을 '업'으로 하는 초경량비행사용사업자는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합니다.

다섯째, 고장 나면 A/S가 쉽다? 아닙니다. 현재 드론은 대부분 수입제품입니다. A/S를 할 수 있는 곳과 인력이 크게 부족합니다. 중국 드론업체가 제조한 DJI의 경우 고장이 났을 때 중국에 보내 수리해야 합니다. 다시 받는 데까지 보통 3개월이나 걸립니다. DJI 한국딜러 중 일부가 기본적인 A/S를 지원합니다. 김포를 비롯 극히 일부지역에 제한돼 있다고 합니다.

여섯째, 드론은 날씨와 상관없이 띄울 수 있을까요? 아닙니다. 어지간한 풍속에는 버티지만 방수시설이 없어 눈이나 비가 오는 궂은 날씨에는 비행을 피해야 합니다. 물론 아주 작은 드론은 센 바람에는 날아가버릴 수 있습니다.

일곱째, 드론으로 야경을 촬영하면 어떨까요? 안 됩니다. 현행 규정상 주간 비행만 가능합니다. 군중이 운집한 곳에서 드론을 띄우는 것도 가급적 피해야 합니다. 전문가들은 사람 머리 위로 비행하는 건 극히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사고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지요.

최근 한국드론협회(http://www.kdrone.org/)가 출범했는데요. 이승경 한국드론협회 교육원장은 "국내 드론 인구는 3~5만명으로 추정된다. 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조종교육, 법제도가 정비돼야 한다. 자칫 안전 문제가 불거질 때는 규제 일변도로 흐를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국내에서는 이제 시장이 열리는 단계입니다. 사실상 상업용 드론 제조사도 없습니다. '드론파이터' 등 완구류를 중심으로 생산하는 바이로봇 정도가 꼽힙니다. 드론 기기에 카메라를 고정해주는 짐벌(gimbal) 같은 기술은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시장에선 중국제품이 주로 유통되는데요. 인터넷 쇼핑몰에서 '직구'를 하는게 일반적입니다.

이승경 원장은 "미국, 캐나다에서는 상업용 드론에 대해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기준 마련에 나서고 있는데 국내에선 아직 많이 미흡하다"고 지적합니다. 드론 시장이 커질수록 사생활 침해, 안전성 이슈도 민감하게 따라붙을 수밖에 없는데요. 사업자, 소관부처는 물론 드론에 관심있는 사람들의 지혜로운 대응이 절실해 보입니다. / 디지털전략부 기자 (끝)

오늘의 신문 - 2024.10.09(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