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性속의 경제史) '누드' 빌도르의 비너스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정화담·성풍속연구가) 지난호에서 우리는 여체를 그릴 때 많은 남성들은 여자를 소유하는 것으로 받아들인다고 말한 바 있다. 그러나 주술의 의미를 갖는다는 것을 사냥감을 잘 잡게 해달라는 기원과 비슷한 것으로 해석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사냥감을 그림으로써 이미 사냥감을 잡은 것으로 해석한다는 것이 옳을 것이다. 구석기인들은 그래서 사냥감을 그렸고 여인상을 만들었다. 물론 구석기 시대인에게만 그랬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동양문화의 한 특징을 「글자에 대한 숭배」로 설명할 수 있다고 임어당은 말했지만 글 속에 영혼이나 또는 특별한 영적인 힘이 들어있다는 생각은 20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나라 사람들도 항용 느끼고 있는 바다. 제사를 지낼 때 지방을 써붙여 조상신의 임석으로 해석하는 것이나 호랑이 호자를 크게 써붙여 그것을 호랑이 그림보다 훨씬 생동감있게 받아들이는 태도들은 결국 누드를 그려 그 여자를 소유하고 현실의 존재로 착각하는 것이나 다를 바 없다.

그렇다면 성기에 대해서는 무슨 말을 할 수 있을까. 남근은 더군다나 조각의 영원한 주제가 되어왔던 터였다. 거대한 남근상이든 실물크기로 만들어 외로운 여인들이 이부자리속에서 사용할 만한 사이즈의 것이든 본질에 있어서는 물론 다를 바 없다.

요즘은 말그대로 실용적 목적(?)으로 만든 모조 남근속에 진동장치까지 하거나 괴상한 돌기를 붙여 쾌감의-사실은 순전히 시각적인 것이지만-증대를 최고조로 끌어올린 남근상들이 길거리에 넘쳐나지만 이 역시 시대를 막론하고 있어왔던 것이다.

최초의 여성상은 그렇다면 무슨 목적이었을까. 오스트리아에서 발견된 빌도르의 비너스는 이같은 해답을 풀기에 적합하다. 그것은 허리와 유방 엉덩이와 아랫배가 모두 잘 발달된 높이 10센티를 겨우 넘는 조그만 조상이다. 잘 발달되었지만 오늘날의 시각으로 보면 말도 안되는, 갈데까지 간 거대한 비계덩어리 비만형 여인이다.

남성의 성기들은 때로는 과장되게 때로는 우스꽝스레 만들어졌지만 기본적으로는 극사실 기법을 유지하는 반면 왜 굳이 여인의 신체는 이처럼 웃기는 비만으로 나타났을까. 둘레의 길이가 높이보다 훨씬 긴 이상한 모양을 말이다.

그러나 이같은 관점은 지극히 현대적인 평가임이 분명하다. 구석기 시대인들에게는 풍만함이 아름다움으로 비쳤을 게 분명하다. 케네스 클라크는 누드는 있는 그대로를 그리는 것이 아니고 인간이 지향하는 바를 그린다고 갈파한 바 있다. 구석기의 선배들은 여인의 비계살을 아주 좋아했다는 얘기도 된다. 그것은 부의 상징이요 영양상태의 상징이며 기르는 암말이 살찐 것과 같은 것으로 받아들여진 것이다.
(독자들께서 혹 필자가 맹목적인 남성우월주의자라고 생각하지 말아주시길 바란다.)

오늘의 신문 - 2024.04.27(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