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정계은퇴 이부영이 꼽은 현대 정치사의 3대 비극은?(1편)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손성태 정치부 기자,국회반장) 한국 정치사에 파란만장한 족적을 남긴 이부영 새정치민주연합 상임고문(73)이 정계를 은퇴했다. 그는 지난 11일 기자를 만나 “정치인의 멍에를 내려놓고 떠난다"며 ”좀 더 국민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었으련만 능력과 식견이 모자라 여기서 그쳐야 하겠다"고 담담한 은퇴소회를 밝혔다.

19대 총선에서 낙선한 직후 은퇴결심을 굳혔으나 대통령선거를 포함해 몇개 선거와 전당대회 등을 당 이벤트를 챙기느라 다소 늦어졌다고 했다. “다음 총선이면 75살쯤 되니까 또 하면 노욕(老慾),노추(老醜)가 아니냐"며 정치에 대한 미련을 털어냈다.

그에게 25년 정치인생에서 가장 큰 회환으로 남은 사건들은 무엇일까.한참을 침묵하던 그는 ‘국가보안법 개정 무산’,‘조문파동’,‘김대중(DJ)-김영삼(YS) 단일화 실패'를 꼽았다.

2004년 낙선으로 원외에 있던 이 고문은 정동영 전 의장에 이어 당시 여당이었던 열린우리당 의장에 취임했다. 당 대표 경선에서 3위를 했지만 두명이 자의반 타의반으로 사의를 표명해 의장직을 승계한 것이다. 당시 절대 다수당인 열린우리당은 국가보안법 폐지 등 4대 개혁법안을 당론으로 정해놓고 한나라당(현 새누리당)과 힘겨루기를 하고 있었다.

동아일보 해직기사 출신으로 재야 민주화 운동에 투신해 다섯번의 옥살이를 했던 이 고문은 국가보안법의 폐해를 어느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다. 보안법 폐지에 의욕을 불태웠지만 전반적인 상황이 녹록치 않았다.한나라당이나 보수단체들이 명운을 건 결사저지의 태도를 보였고,열린우리당이 공개공천을 통해 흡수한 소속의원들 중 상당수도 국보법 폐지 반대론자로 분류돼 국회 본회의 표결통과 가능성도 희박했기 때문이다.

이 고문은 당시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천정배 김덕용 당시 여야 원내대표와의 4자 비밀회동을 통해 천신만고끝에 합의안을 이끌어냈다. 폐지대신 국가보안법이 명시하고 있는 찬양고무,불고지.회합통신 등 5개 독소조항을 제거하는 개정안을 우선적으로 통과시키자는 것이었다.

이 고문은 “5개 독소조항만 제거하면 국가보안법은 사실상 무력화됐을 것이고, 현재의 남북관계는 지금과는 많이 달라졌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개정안이 통과됐으면 보수우익들의 반발로 박근혜 대표가 불명예 퇴진할 수 밖에 없고 대권행보에도 제동이 걸렸을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4자간 합의사실이 전해지면서 당이 발칵 뒤집혔다. 유시민 정청래 임종인 등 당내 개혁파 의원들은 농성을 벌이면서 강력 반발했다.

이 고문은 “여당이 국회에서 농성하는 웃지 못할 해프닝을 상상도 못했다"고 회고했다. 이 고문은 당시 개혁파중 한명인 유시민 전 장관을 의장실로 조용히 불러 설득도 해봤다. 현재 정치적 상황을 비롯해 개정안이라도 통과시켜야 하는 명분까지 장황하게 설명했다. 이 고문은 당시 유 전 장관이 개정안을 끝내 반대하면서 툭 던진 말을 아직도 잊지 못한다고 했다. “현실적으로 국가보안법 폐지가 가능하겠냐"는 질문에 유 전 장관은 “지금 못하면 어떻습니까. 우리가 계속 집권할텐데”라고 말했다.

4자 지도부 회동을 통한 합의안은 천정배 원내대표가 갑자기 국보법 폐지쪽으로 돌변하면서 휴지조각이 됐다. 이 고문은 이후 천 전 장관과 마주하기를 꺼렸고, 지금까지도 그가 태도를 바꾼 속내를 짐작조차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둘은 국보법 폐지실패 동반책임을 지고 불명예 퇴진했다.

이 고문은 “10을 얻을려는 과욕으로 오히려 아홉을 잃는 우를 범했다"며 “10년이상 국가보안법 한 줄도 못고치고 있는 정치인은 모두 역사의 죄인"이라고 말했다.

1994년 민주당의 국회 외통위원회 소속이었던 이 고문은 김일성 주석 사망때의 ‘조문파동'으로 정치인생 최대 위기를 맞기도 했다. 자신과 가족이 곤욕을 치렀지만, ’조문파동‘으로 남북관계가 경색된게 이 고문에게 더 가슴아픈 대목이다.

이 고문이 외통위에서 “혹 정부가 조문 의사를 표명할 용기가 있느냐"고 질의했다. 하지만, 김 주석 사망후 남침설이 제기되는 등 긴장국면에서 일부 보수 언론들이 질의 앞뒤를 생략한채 ‘6·25를 일으킨 전쟁범죄자에게 조문을 강요했다’는 내용의 기사를 쏟아냈다. 메카시즘 광풍이 몰아쳤고, 이 고문은 순식간에 종북주의자로 낙인찍혔다.

이 고문은 “양국 정상회담이 날짜까지 정해진 상황에서 김일성의 급작스런 사망으로 무산된게 너무 안타까웠다"며 ”조문으로 관계회복의 실마리라도 이어가자는 충정의 발로였는데 오히려 남북관계를 악화시키는 빌미가 돼 버렸다"고 토로했다.

이 고문은 반북(反北)세력의 공공의 적이 돼 생명의 위험에 시달리는 등 말 못할 고초를 겪어야 했다. 이 고문은 “국회의원 신분에도 불구 대한민국이 개인의 생명이 보호받을 수 있는 안전 시스템이 얼마나 취약한 지 온 몸으로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 .퇴역 상이군인을 포함해 수 많은 단체들이 지역당 사를 점거하면서 물리적 폭력을 행사했고,자택에는 시도 때도없이 돌들이 투척됐다고 전했다.(계속)

오늘의 신문 - 2024.05.18(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