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스냅챗, 뉴스-광고 서비스 나선다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박병종 IT과학부 기자) 글로벌 메신저 업계의 다크호스로 불리는 '스냅챗'이 뉴스와 광고 서비스에 나섭니다. 수익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서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0일 스냅챗이 오는 11월 '스냅챗 디스커버리'라는 이름으로 뉴스와 광고 서비스에 나설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스냅챗은 수신자가 읽으면 메시지가 사라지는 메신저입니다. 미국 청소년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지만 마땅한 수익 모델이 없었습니다.

WSJ는 스냅챗이 뉴스 서비스를 위해 영국의 가십 전문 매체 '데일리 메일' 등 12곳 이상의 신문·잡지 등과 제휴를 맺었다고 전했습니다. 뉴스·광고 콘텐츠는 기존의 메시지처럼 보고 나면 사라지는 방식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가입자 유치에 집중하던 스냅챗이 수익모델 구축에 나선 것은 매각이나 투자 유치시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해서라는 설명이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에번 스피겔 스냅챗 최고경영자(CEO)는 페이스북이 지난해 스냅챗 인수를 위해 3조원을 제시하자 거절한 바 있습니다.

최근에는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가 스냅챗의 기업가치를 100억 달러로 평가하고 인수를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죠.

왓츠앱이 20조원에 팔리는 등 메신저 서비스가 인수합병(M&A)의 핵으로 떠올랐지만 스냅챗의 가입자는 2700만명에 불과합니다. 왓츠앱의 5억명과는 큰 차이가 있죠. 이런 상황에서 기업가치를 끌어올리기 위한 좋은 방법이 수익 모델 발굴입니다.

한국에서도 카카오톡이 스냅챗과 비슷한 시기에 뉴스 서비스를 내놓을 전망입니다. 두 메신저가 뉴스라는 공통의 아이템을 이용해 어떻게 돈을 벌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카카오톡은 페이스북의 ‘페이퍼’와 유사한 서비스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끝)

오늘의 신문 - 2024.06.29(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