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의 윤영호 교수·이준구 전문의 연구팀은 2008년부터 2009년까지 국내 17개 병원 암환자 1242명, 암환자 가족 1289명, 암 전문의 303명, 일반인 1006명 등 총 3840명을 대상으로 ‘말기암을 어떻게 해석하는지’를 물었습니다. 그 결과 말기암을 6개월 이내에 사망하는 시한부 선고로 본다는 응답이 45.6%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항암치료를 하는 데도 암이 진행되는 상태인 난치암을 말기암으로 보는 비율은 21.2%였습니다. 말기암을 암이 재발하거나 전이된 상태로 보는 사람은 19.4%였고, 암 때문에 수일 혹은 수주 내에 사망하는 상태를 말기암으로 보는 비율은 11.4%였습니다. 초기 상태는 지났지만 완치가 가능한 국소암을 말기암으로 보는 비율도 2.5%가 됐습니다.
윤 교수는 “응답자들은 의학적 판단에 근거해 말기암을 해석하고 있지 않다”며 “치료가 불가능한 말기암을 치료나 생명연장이 가능한 재발·전이암, 국소암으로 본다는 응답도 많아 말기암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확립돼 있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인식 차이는 환자에 대한 의사결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환자에게 말기암 사실을 알리는 문제에 대해 말기암을 ‘수일·수주 내 사망’ 으로 응답한 가족은 78.1%, ‘국소암’ 으로 응답한 가족은 92.6%가 각각 괜찮다고 답했습니다.
말기암 환자의 연명치료 중단 문제와 관련 말기암을 ‘난치암’으로 응답한 가족은 91.9%, ‘국소암’ 으로 응답한 가족은 69.2%가 괜찮다고 답했습니다.
윤 교수는 “말기암에 대한 해석 차이는 말기 통보나 연명의료 중 잘못된 의사결정과 심각한 갈등요인이 될 수 있다”며 “보건복지부와 전문가 집단은 말기암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적극 홍보해야 하며 의료진은 환자와 가족에게 말기암에 대한 보다 세심하게 설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