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공무원보다 기자가 많은 정부 부처는?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허란 증권부 기자) 공무원 수보다 출입하는 기자가 많은 정부 부처가 있습니다.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 입주한 금융위원회가 그 주인공이죠.

금융위의 9급 이상 일반직 공무원 수는 지난해 말 기준 240명입니다. 이중 검찰, 경찰, 국세청 등에서 파견된 사람들로 구성된 금융정보분석원(FIU) 인원을 제외하면 180명 정도가 실제 금융위 공무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원과 기획재정부가 1000명 안팎이고 공정거래위원회 공무원도 526명인 것에 비하면 확실히 적은 숫자 입니다.

그럼 금융위에 등록된 출입기자는 몇 명이냐고요? 금융위 관계자 말로는 230명 가량이라고 합니다. 금융위 공무원 1명 당 1.3명의 기자가 있는 셈이죠. 금융위가 국내 금융정책을 총괄하는 금융 분야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만큼 출입 기자가 많은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합니다. 오히려 중요 부처의 공무원 수가 적은 게 신기할 정도죠.

금융위가 수에서 밀리는 것은 기자에 비해서만은 아닙니다. 금융위의 감독집행기구인 금융감독원의 인력이 1800명 정도라고 하니 그야말로 어른 몸통에 아이 머리가 붙어 있는 격입니다.

금융위 규모가 이처럼 작은 것은 정권이 바뀔 때마다 부처 쪼개기와 합치기가 반복한 데서 기인한 측면이 있습니다. 1998년 외환위기(IMF) 직후 들어선 김대중 정부는 금융감독을 일원화하기 위해 금융감독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을 설치했습니다. 당시 거대조직이었던 재정경제원은 재정경제부와 기획예산위원회, 그리고 금융감독위원회로 분리됐습니다.

2008년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금융감독위원회는 폐지되고 재정경제부의 금융정책기능을 통합해 금융위원회가 신설됐습니다. 이때부터 금융정책과 감독집행 기능을 이원화하기 위해 금융위원장과 금감원장을 분리 임명하기 시작했습니다. 그전까지는 금융감독위원장이 금감원장을 겸임했었는데 말이죠.

이렇게 되면서 과거 금융위의 업무를 직접 보좌했던 금감원이 지금은 어느 정도 상호 견제하는 관계가 됐습니다. ‘쪽수’가 더욱 중요하게 된 상황인 것이죠. (끝)

오늘의 신문 - 2024.06.29(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