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임태희-김기문이 몰래 만난 까닭은?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박수진 중소기업부 기자) 소상공인 대표단체 지정이 임박한 가운데 임태희 전 청와대실장과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이 최근 비밀리에 만났다.

22일 중소기업중앙회와 소상공인창립추진위원회 등에 따르면 두 사람은 10월초 서울 모 처에서 만나 소상공인연합회 추진 단체들의 통합 문제를 논의했다. 임 전 실장은 김경배 한국수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장 등이 주도하는 소상공인연합회창립추진위원회(이하 창추위)를, 김 회장은 최승재 한국인터넷PC방협동조합 이사장이 이끄는 소상공인연합회창립준비위원회(창준위)를 각각 지원하고 있다.

임 전 실장은 올해 초 부터 창추위 정책고문위원장으로 일하고 있으며, 최승재 이사장의 창준위는 김 회장이 있는 중기중앙회에 사무실을 두고 각종 지원을 받고 있다.

임 전 실장은 회동에서 “연내 두 단체를 통합해 대표 단체를 설립할 수 있도록 중기중앙회가 도와달라”고 요청했다. 김 회장은 “중기중앙회가 소상공인 대표단체 설립을 방해하는 게 아니라 도움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임 전 실장은 두 단체 통합을 중재하기 위해 다섯 차례 이상 두 기관 회합을 주도했으나 통합단체 지분 문제 등으로 성과를 보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창추위 측은 통합 후 적격 회원 보유 비율대로 지분을 나눠가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창준위측은 1대1 대등 통합안에서 한발짝도 물러서지 않고 있다.

320만 소상공인을 대표하는 법정단체가 되려면 전국 9개 광역시도에 조직을 둔 단체(적격 회원)를 20개 이상 회원으로 둬야 하는데, 창추위나 창준위 모두 이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 단체는 이달말까지 통합 논의를 계속하다 안되면 주무관청인 중소기업청에 각자 설립 허가를 낼 것으로 알려졌다. 중기청 관계자는 “통합이 가장 좋은 선택이지만 안될 경우 둘 중 적격 단체를 법정 대표단체로 지정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통합 시한을 앞두고 두 단체가 거물들을 전면에 내세우는 양상”이라며 “임 전 실장과 김 회장의 중재 역량에 기대를 걸어볼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박수진 기자 psj@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4.06.29(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