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취재 뒷 얘기

네이버 뉴스·댓글 개편안...이용자 의견은 제대로 수렴했나?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최진순 디지털전략부 기자) "올해 3분기 이후부터 네이버는 더 뉴스 편집을 하지 않겠다"

네이버는 9일 '뉴스 및 뉴스댓글 서비스 관련 기자간담회'를 열고 모바일 초기 화면을 현재의 '뉴스'가 아닌 검색 중심의 화면 즉, '검색판'으로 변경할 것이라고 밝혔다. 구글 방식처럼 검색창만 정중앙에 뜨는 구성이 될지, 아니면 부가적인 정보를 더 담을지는 미정이다. 시행시기는 하반기다. 또 개인 관심사에 초점을 두는 인공지능 기반의 '뉴스피드판'을 신설한다. '편집'은 '기계(인공지능)'과 언론사의 수중으로 돌리지만 '뉴스 서비스'는 유지하겠다는 이야기다.

현재 네이버 모바일 초기 화면에서 뉴스 영역은 상단의 뉴스 화면 외에 뉴스 공급 제휴를 맺은 언론사들이 직접 배열한 기사들을 노출하는 '채널', 인공지능 기반 추천 시스템 'AiRS 추천뉴스' 등이 있다. '채널'의 위치는 네이버 모바일 초기 화면을 기준으로 했을 때 상단의 뉴스면 아래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밑 부분이다. '에어스'는 로그인 상태에서만 제공되며 모바일 홈 뉴스판 중간 배너 영역 하단에 있다.

네이버는 언론사가 직접 뉴스를 편집하는 '뉴스판'에서 발생하는 광고수익은 해당 언론사에 제공한다고 밝혔다. 현재 구글은 인링크 방식으로 뉴스를 제공하는 언론사에 50%의 비율로 광고수익을 지급한다.

네이버 뉴스 개편의 방향을 놓고 전문가들은 전체적으로 뉴스 소비가 줄어든다는 데는 공감을 표시했다. 유도현 닐슨코리안클릭 미디어리서치 부문 대표는 "순간적으로 정보를 탐색한 뒤 관련 뉴스를 읽는 이용자층이 모바일을 주도하고 있다. 다량의 텍스트 뉴스 소비자들은 일반적으로 PC 환경에서 40~50대 남성 이용자들이다. 네이버 모바일에서 개별 이용자들의 뉴스 이용량은 많지 않다."고 설명했다. 즉, 언론사가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지 않을 것이란 진단이다. 물론 아직 '안'에 불과해 전망을 하기에 이르다는 견해도 있다.

2018년 5월 현재 네이버 전체 서비스에서 뉴스 트래픽 비중은 모바일과 PC가 각각 7%, 3% 수준이다. 네이버는 이용자의 정보 이용 행태 데이터를 근간으로 수년간 모바일 서비스를 개선해온 만큼 이 정도의 트래픽 손실은 금세 만회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개편안 역시 네이버로서는 손해볼 게 없는 셈이다.

뉴스 댓글 조작 논란에 정치권이 가세하면서 불거진 구글 방식의 '아웃링크' 서비스에 대한 네이버의 공식 입장도 나왔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일괄적인 아웃링크 도입은 어렵지만 언론사와 개별 협의를 통해 적극 추진하겠다"고 한 것. 그러나 전재료 이슈가 녹록하지 않아 다수의 언론사가 아웃링크로 돌아설지는 미지수다.

업계에 오래 회자된 이슈이긴 해도 일부 대형 언론사를 중심으로 언론사들이 연합한 형태의 '뉴스포털' 논의도 나온다. 이참에 네이버 둥지를 완전히 떠나야 한다는 주장이지만 성공 가능성은 안갯속이다. 이 기회에 '아웃링크'의 저작권 침해를 쟁점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유도현 대표는 "검색 페이지에서 뉴스제목을 노출해 아웃링크로 넘기는 것은 이용자가 뉴스를 읽을 기회를 제공해 언론사의 수익에 기여한다는 포털사업자의 주장이 타당한지를 (유럽언론과 구글 사례처럼) 따져봐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물론 당장에는 네이버의 뉴스 서비스 개편으로 언론사가 어떤 대응을 할 것인지에 이목이 쏠릴 수밖에 없다. '뉴스판'에서 언론사 간 선정적인 뉴스 경쟁이 재연될 수 있어서다.

강정수 메디아티 대표는 "이번 개편안은 한마디로 '모바일판 뉴스캐스트'다. 상업적 경쟁구조를 여전히 유지한 채 좋은 뉴스 경쟁을 하라는 꼴"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강정수 대표는 "매일 3,000여만명이 찾는 플랫폼에서 이용자 의견을 광범위하게 알아보는 과정도 없이 이용자의 편익을 고려하지 않은 서비스 개편안을 제시할 수 있는지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한마디로 이용자는 없고 언론사의 처지만 고려한 개편안이라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시된 것은 아니지만 이용자는 뉴스판의 화면 배열 조건이나 랜덤 상황에 따라 언론사를 선택하게 될 가능성이 여전히 높다. 과거 네이버의 뉴스개편 때마다 이용자는 언론사를 선택-구독하는 개인화 설정을 기피했었다. 개인화 설정이 뉴스 이용자에게 더 유익할 수 있다는 예상과 다르게 부담스러워했던 것이다. 이용자의 인지행동 비용이 예상보다 높았던 셈이다.

이런 측면을 고려하면 검색어 연관 뉴스 생산으로 트래픽을 끌어들이는 접근방식이나 선정적인 소재를 주로 다루는 속보대응 만으로는 궁극적으로 이용자의 선호를 받기 어렵다. 언론사가 수준 있는 저널리즘 경쟁을 펼쳐지 않는한 '브랜드 충성도' 제고는 요원하다.

이날 네이버는 댓글 정책 개편안도 공개했다. 언론사가 뉴스 댓글 관리를 맡고 댓글 쓰기와 노출방식에 제한을 가한다는 게 핵심 내용이다. 매크로에 대응하는 기술적 대응도 제시했다. 특히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치관련 기사 댓글의 노출과 정렬방식도 손질한다. 포털 뉴스에서 댓글 주목도를 떨어뜨려 댓글 어뷰징을 어느 정도 차단하는 효과는 거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부 개편안의 시행시기를 3분기로 잡은 것은 너무 느린 행보라는 지적이 나온다. 또 댓글 개편안 자체에 실효성이 있는지 의문을 표하는 견해도 있다. 강정수 대표는 "오늘 당장 '댓글 많은 뉴스'나 부정적으로 흐를 수 있는 랭킹 기반의 서비스는 중단해야 한다.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도 마찬가지다. 이것은 이용자에게 이런 장치들이 (어떤 이슈를 살펴볼 때) 전반적으로 중요하다는 신호를 줄 수 있고 시장을 교란할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지적했다. 이번 개편안에서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서비스는 사용자가 노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동안 뉴스 댓글의 질적인 전환을 주제로 이해당사자가 머리를 맞댄 적도 없다. 해외 뉴스 미디어들은 엄격한 뉴스 댓글 관리는 물론이고 이용자의 기호나 취미 등을 바탕으로 커뮤니티를 만들어 이용자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반면 국내 언론사의 경우 댓글 이슈는 늘 먼 산 불구경하는 상황이었다. 네이버가 뉴스 댓글을 언론사에 맡긴다고는 하나 과연 댓글 관리를 제대로 할 곳이 얼마나 있을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이기도 하다. 포털에서 댓글 논란이 불거질 때 언론사가 책임을 지는 구조 자체도 이상하다는 지적도 있다.

네이버 뉴스·댓글 개편안을 놓고 정치권, 언론, 포털사이트가 분주해지고 있다. 정작 개편안에서 구경꾼 신세가 된 이용자의 '선택'은 무엇일까? (끝) / soon69@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4.04.27(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