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취재 뒷 얘기

‘무역 전쟁’에 갈피 못잡는 원화 가치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김은정 경제부 기자) 외환시장의 움직임은 예측하는 게 어렵습니다. 예상치 못한 변수가 수시로 불거질 뿐만 아니라 호재로 여겼던 변수가 실제론 악재로, 악재로 보였던 변수는 호재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요즘 외환시장도 마찬가지입니다. 전 세계가 우려하고 있는 미국발(發) 무역 전쟁 가능성이 원·달러 환율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더욱 그렇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국 수입 철강과 알루미늄에 ‘관세폭탄’ 부과를 예고하는 등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움직임은 강화되고 있습니다. 이에 미국 백악관 내에서 자유무역 옹호 진영의 리더로 불리는 게리 콘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이 사임을 하는 등 후폭풍도 거셉니다.

무역 전쟁은 원·달러 환율에 이중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우선 환율 상승(원화 가치 하락) 재료로 작용할 여지가 있습니다. 한국은 수출 의존도가 높은 산업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무역 전쟁이 발발하면 한국 경제는 직격탄을 맞게 됩니다. 간신히 살아나고 있는 경제 회복세나 성장률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는 한국 자산에 대한 외국인 투자 심리도 위축시킬 가능성이 있구요. 이런 요인들은 모두 원화 가치를 떨어뜨려 원·달러 환율을 밀어올리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미국 정부의 보호무역주의는 달러화 약세를 겨냥한 측면이 큽니다. 하지만 이 역시 중장기적으론 원·달러 환율을 상승시킬 요인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달러화 약세는 한국의 경상수지 흑자 폭을 점진적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이죠.

그렇다고 무역 전쟁이 무조건 원·달러 환율 상승 재료만으로 작용한다고 보기도 어렵습니다. 무역 전쟁을 부추기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이 주변국과 마찰을 빚게 되면 달러화 가치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죠.

무역 전쟁은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와 일맥상통합니다. 미국 제조기업을 보호하겠단 것이죠. 달러화 가치가 낮아져야 미국 제조기업들의 수출 제품 가격이 상대적으로 싸지고, 국제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갖게 됩니다. 무역 전쟁이 가속화할수록 달러화 가치는 내려갈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이 때문에 동일한 무역 전쟁이라는 이슈는 하루하루 발생하는 이벤트에 따라 원·달러 환율을 밀어올리기도, 떨어뜨리기도 하는 재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이달 중순에 접어들면서 외환시장에 또다른 ‘대형 재료’가 가세했습니다. 남북 정상회담 합의입니다. 남북 정상회담 합의는 지정학적 리스크 해소로 원화 강세 요인입니다. 추가 기준금리 인상 시기를 두고 고민이 많은 한국은행에도 나쁘지 않은 소식이고요. 이주열 한은 총재는 통화정책 설명회 때마다 줄곧 북한 리스크를 강조했습니다. 북한 리스크에 따른 불확실성이 통화정책 결정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겁니다.

그렇다고 남북정상회담으로 무조건적인 원화 강세를 점치기도 어렵습니다. 이달 말 한·미 금리 역전 현상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한국의 금리는 연 1.50%, 미국은 연 1.25~1.50%입니다. 상단이 동일하지요. 오는 21일 미국이 0.25%포인트만 금리를 올려도 금리는 역전됩니다. 이달 말 미국의 금리 인상은 시장에서 기정사실로 여기고 있고요.

미국의 금리 인상은 달러화 강세와 신흥국 통화 약세를 부추깁니다. “불확실성이 복합적이고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어 환율 향방을 예측하는 게 더 어려워졌다”는 외환시장 참여자들의 하소연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확실히 환율 변동성은 더 커졌습니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달 원·달러 환율 변동 폭은 1년여 만에 가장 커졌습니다. 주요국과 비교해도 두드러졌죠.

지난달 원·달러 환율의 변동 폭은 평균 5원50전으로 지난해 1월(7원10전) 이후 1년1개월 만에 가장 컸습니다. 직전 달인 지난 1월 변동 폭은 3원80전이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변동 폭은 하루 단위의 환율 종가 변화를 평균한 것입니다.

변동률도 0.51%로 지난해 1월(0.60%) 이후 1년여 만의 최고치였습니다. 달러화의 변동률은 0.38%로 원화(0.51%)보다 작았고요. 일본 엔화와 유로화의 경우에는 각각 0.43%, 0.39%를 나타냈습니다. 영국 파운드화(0.42%)와 중국 위안화(0.22%) 역시 원화보다 변동률이 작았답니다.

이렇다 보니 올 1월 초 달러당 1060원대 초반까지 내려 앉았던 원·달러 환율은 지난달 초엔 1100원대를 눈 앞에 두다가 이달 들어선 다시 1070원대를 오르락내리락 하고 있습니다. 당분간은 환율의 하루하루 움직임을 지켜보는 수밖에 없을 듯 합니다. (끝)/kej@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4.04.27(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