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구직자들 "구직 공백기간 2년 넘으면 취업 어렵다"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공태윤 산업부 기자) 구직에 대한 압박감이 남성보다는 여성이, 경력직보다는 신입직 구직자가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학력이 높을수록 빠른 시간내에 취업에 성공해야 한다는 불안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구직자 179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구직자들은 구직에 성공할수 있는 적정기간을 신입은 13.2개월, 경력은 7.5개월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에 성공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구직기간의 마지노선은 신입 21.9개월, 경력 13.9개월로 분석됐다. 구직 공백기간이 신입은 2년, 경력은 1년을 넘기면 사실상 취업이 어렵다는 뜻이다.

이번 조사에서 구직자의 75.5%는 “일정기간 내에 취업(구직)에 성공하지 못하면 결국 일자리를 구하지 못할 것이라는 불안감을 느낀 적이 있다”고 입을 모았다. 응답군별로 살펴보면 △남성(70.9%) 보다는 △여성(77.6%)이, △경력직(70.3%) 보다는 △신입직 구직자(77.2%)가 상대적으로 이러한 불안감을 더 느끼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고졸 이하 학력의 구직자(72.3%)와 △대학원 재학 이상 학력의 구직자(82.8%) 간의 응답차가 약 10%P에 이르는 등 학력이 높아질수록 빠른 기간 내 취업에 성공해야 한다는 불안감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구직자들이 생각하는 취업이 가능하다고 여겨지는 적정 구직기간(*개방형)은 △신입직은 평균 13.2개월, △경력직 은 평균 7.5개월로 나타났다. 늦어도 최장 이 기간 내에는 취업이 완료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구직기간 마지노선은 이보다 평균 8개월 가량 더 길게 잡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입직 구직자의 구직 마지노선은 21.9개월로 나타났으며, △경력직 구직자는 평균 13.9개월까지를 구직기간의 마지노선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구직자들은 특히 이력서 상에 일정기간 이상 공백이 생기는 것이 취업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하기도 했다. 잡코리아-알바몬 설문조사에 참여한 구직자의 82.2%가 ‘일정 기간 이상 직업이 없는 무직자의 상태로 있는 것이 취업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불안감을 느낀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들 중 상당수는 실제로 직업이 없는 상태로 구직하지 않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기도 한 것으로 조사됐다. 무직 상태로 구직하지 않기 위해 기울인 노력을 살펴보면 ‘알바, 비정규직으로라도 일단 일을 시작해서 공백을 없앴다’는 응답이 43.8%로 두드러지게 높았다. 이어 ‘휴학을 하거나 졸업 유예를 선택하는 등 졸업시기를 미뤘다’는 응답도 20.0%로 높게 나타났다. 이밖에도 ‘학원수강 등 공백기를 설명할 수 있는 적절한 이유를 만들었다(11.2%)’, ‘원하는 직장에 취업될 때까지 일단 되는 데라도 다녔다(5.4%)’, ‘이직할 곳이 정해지기 전까지는 퇴사하지 않았다(4.3%)’, ‘인턴으로 입사해 구직을 위한 시간을 벌었다(3.9%)’, ‘대학원 진학 등 학교에 적을 뒀다(2.9%)’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반면 ‘딱히 노력한 것이 없다’는 응답은 8.0%에 그쳤다.

한편 많은 구직자들이 취업을 위해서라면 비정규직도 불사하겠다고 밝히면서도, 연봉과 직무만큼은 양보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잡코리아가 ‘취업만 된다면 나는?’을 주제로 던진 질문에 61.1%의 구직자가 ‘취업만 된다면 비정규직으로도 일할 수 있다’고 답했다. 반면 ‘취업만 된다면 연봉, 회사규모 등 근무조건은 충분히 양보/협의할 수 있다’는 응답은 48.0%를 얻는 데 그쳤다. 특히 ‘취업만 된다면 내가 좋아하는 일, 하고 싶은 일이 아니어도 된다’는 응답은 41.6%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잡코리아 좋은일연구소 이재학 소장은 “취업난이 장기화되고 평생 직장의 개념이 사라지면서 정규직으로 안정되게 오래 일하는 것 보다는 내가 원하는 직무를 중심으로 희망하는 근무조건을 맞춰 취업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끝) / trues@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4.07.02(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