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당뇨 치료 인공피부, 세계에서 가장 센 레이저...해외에 자랑할만한 IBS 5년 성과들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박근태 IT과학부 기자)대표적인 만성질환으로 꼽히는 당뇨 환자들은 정기적으로 혈당을 측정하고 혈당조절약을 투여하기 위해 주사를 맞는다. 김대형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 연구위원(서울대 교수)은 차세대 전자소재로 손꼽히는 그래핀 소재로 혈당을 측정하고 약을 투여하는 미세 바늘이 들어 있는 인공피부를 개발했다. 피부에 상처를 내지 않고도 당뇨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할 수 있어 환자 치료에 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남창희 IBS 초강력레이저과학연구단장(광주과학기술원 교수)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4페타와트(PW=1000조 와트) 레이저를 만들었다.

IBS는 올해 설립 5주년을 맞아 산하 26개 연구단에서 쏟아낸 명품 연구 성과를 담은 ‘IBS리서치 하이라이트 앤 어낼리시스, 지식의 풍경’ 보고서를 15일 발간했다. IBS는 세계 톱 1% 수준 과학자 300명을 유치해 한국 기초과학을 세계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지난 2011년 설립됐다.

보고서는 유룡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연구단장(KAIST 교수)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3차원(3D) 다공성 그래핀도 대표 성과로 꼽았다. 유 교수는 다공성 물질인 제올라이트 연구를 주도한 전문가로 한국 과학자 중 노벨상에 가장 근접한 연구자로 손꼽힌다.

지구 온난화와 에너지 부족을 동시에 해결하는 연구 성과도 나왔다. 백무현 분자활성 촉매반응연구단 부연구단장(KAIST 교수)은 온실가스 중 22%를 차지하는 메탄가스를 분해해 원유를 대체할 물질로 만드는 길을 열었다.

IBS 연구단에서 일하는 외국인 과학자의 활약도 두드러진다. 미국 출신의 로드니 루오프 다차원 탄소재료연구단장(울산과학기술원 특훈교수)은 튼튼하고 전기적 성질은 좋지만 반도체로는 쓰지 못하던 그래핀을 간단한 방법으로 반도체로 만드는 방법을 알아냈다.

학술정보회사인 클래러티브 애널리틱스(옛 톰슨로이터)에 따르면 IBS가 발표한 논문 1836건 가운데 많이 인용된 상위 1% 논문은 5.29%에 이른다. 이는 역사가 긴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와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의 2배에 이르는 수치다. IBS는 “대표 성과로 소개된 40건의 논문 중 9건을 30~40대 신진 과학자들이 썼다”며 “기초과학 인재 양성에서도 소기의 성과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끝)/kunta@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4.04.26(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