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시극 작가' 데뷔한 AI, 사람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을까 [선한결의 IT포커스]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카카오브레인 AI 시극 '파포스' 보니

공감과 이해 어려운 시구…사람과의 협업도 별 효과 못내
"AI에 데이터만 더 학습시키면 '공감' 끌어낼 수 있다" 전망도


영화, 드라마, 음악, 시… 문화예술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일 때 그 의미를 더합니다. 관객이나 청자가 작품이 묘사한 내용과 꼭 같은 경험을 했거나, 작품 속 가치관에 완전히 동의하는 것이 아니라도 그렇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감동을 주는 일은 인간만의 영역일까요. 최근 서울 대학로 연극 무대에 오른 인공지능(AI) 시극을 통해 알아봤습니다.

AI 시극 '파포스'는 카카오의 AI 전문기업 카카오브레인과 미디어아트그룹 슬릿스코프가 개발한 ‘시 쓰는 AI’ 시아의 시를 바탕으로 짠 연극입니다. 지난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무대에 오릅니다.

이 AI는 카카오브레인의 초거대 AI 언어모델 KoGPT를 활용해 만들었습니다. 인터넷 백과사전, 뉴스 등으로 한국어를 익혔다고 합니다. 시는 약 1만여편을 학습했다고 하네요.

시 내용은 지난 8일 시집을 통해 공개됐습니다. 시 자체는 단순히 AI가 한 단어 뒤에 올법한 다른 단어를 짧은 문장 형식으로 열거해놓은 수준입니다.

텍스트의 내용을 알면서도 공연장에 간 것은 AI를 쓰는 예술에서 사람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가 궁금했기 때문입니다. AI는 단조로운 결과물을 ‘출력’했습니다. 이를 무대에서 말하고, 연기하며 재현하는 사람들의 숨이 어떤 새로운 효과를 불어넣을 수 있을지 알고 싶었습니다. 공연은 어느 회사·단체 등의 지원을 받지 않고 제 돈을 내고 관람했습니다.
무대에 오른 인간과 AI, ‘협업’ 결과는
결과는 ‘딱히 별 효과는 없었다’였습니다. 파포스는 배우 다섯명이 카카오AI가 쓴 시를 번갈아 가며 읽는 구성입니다. 감정을 표현하도록 목소리의 높낮이와 말의 속도 등을 다양하게 짰습니다.

여기에다 인간의 몸짓이 더해집니다. AI 시에 ‘뒤집을수록’이라는 구절이 나올 때 이를 읽는 배우가 몸을 뒤집는 식입니다. 일부는 말장난도 더했습니다. ‘도래할 것이다’라는 구절을 읊을 때 도레미 음률을 실어 ‘도-레↗ 할 것이다’처럼 표현한 게 그런 예입니다.

하지만 사람의 목소리, 몸짓, 표정 모두 공연의 의미를 키우기엔 역부족이었습니다. 텍스트 자체의 한계가 큽니다. 카카오 AI는 시의 모티브로 삶과 죽음, 슈뢰딩거의 고양이, 유한소수, 우주 등 ‘있어 보이는’ 주제를 주로 다뤘습니다. 이중 시극에 등장한 몇줄을 소개하자면 이렇습니다.
<슈뢰딩거 고양이가 들어있다. 슈뢰딩거 고양이는 동시에 죽어있고 동시에 살아있다. 그래서 고양이는 난해한 텍스트다. 에~취, 글 읽을 때는 고양이가 없어야 한다.>

이는 참 영리한 선택일 수도 있겠습니다. 주제들이 각각 누구도 결론을 알 수 없고, 광범위한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것들이라 무슨 단어든 붙여놓으면 일단 의미가 있겠거니 여길 수 있으니까요.

AI가 단순 확률에 따라 도출했지만, 딱히 맥락엔 맞지 않는 말이 이어져도 ‘시는 원래 그런 것이다’라고 해버릴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렇다 보니 인간이 썼다면 ‘아무말대잔치’ 취급받았을 글도 AI가 쓰면 시가 되는구나 싶은 장면이 많았습니다.
<사이에 있는 것은 나뭇잎 하나. 젖은 나뭇잎, 마른 나뭇잎. 사이. 나무와 불과 연기. 사이. 사이에 있는 것은 뜨겁다.>
<착각, 한다. 착각 속으로 들어간다. 진실이 착각착각 속으로 들어간다. 들어간다.>

이런 시구를 들으며 장면이 여섯번쯤 바뀌자 조금 괴로워졌습니다. 무대와의 동감, 공감, 이해 모두가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동음이의어 등을 활용해 중간중간 들어간 말 놀이와 번쩍거리는 미디어아트 등도 무대와 객석간 감정의 이격을 더 키울 뿐이었습니다.

배우 두 명이 마치 언쟁하듯 시를 나눠 읊는 장면에서는 ‘내가 이 대화를 독일어나 스와힐리어로 듣고 있어도 지금과 아무런 차이가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전혀 알아들을 수 없는 외국어 대화를 한 시간 넘게 꼼짝하지 못한 채 듣고 있는 기분이었으니까요.

'공연장에 오지 않았다면 이 시간에 집안 청소라도 하고 있을텐데, 나는 대체 호기심이라는 이유로 지금까지 얼마나 많은 자원을 낭비해왔고 앞으로 또 낭비할 것인가.' 자아 성찰의 생각이 스멀스멀 올라왔습니다. 시극을 쓴 AI 시아 식으로 표현하자면 이럴 것 같습니다. <나는 이 예술-비예술을 나의 부재로써 완성하고 싶었습니다. 다리, 문. 다리, 문.> 그냥 중간에 나가고 싶었다는 얘기입니다.

극 중후반부쯤이었을까요. 무대 전체가 밝아진 짧은 순간에 대각선에 앉아있던 다른 관객과 눈이 마주쳤습니다. 지루한 표정으로 팔짱을 낀 채 몸을 비틀고 있는 분이었습니다. 딴생각을 하면서 무대에서 고개를 돌린 저와 비슷한 기분을 느끼신 듯했습니다. 순간 그 관객과 저 둘다 피식 웃음을 지었습니다. 공연장에 입장한 지 한 시간여 만에 처음으로 느낀 공감과 이해의 순간이었습니다.
그래도 의미는 있습니다
AI 시극에 대해 ‘공감을 주지 못했으니 좋지 않은 공연’이라고 하는 것은 좀 불공평한 일일 것 같습니다. 애초에 관객에게 감정적 동요를 일으키려는 게 목적이 아니었을 공산이 크기 때문입니다.

AI 기술이 각 분야에서 범람하는 시대에 예술분야에서 인간의 영역이 얼마만큼인지를 알아보는 것만 해도 의미가 있습니다. 이날 객석에서 만난 한 문화단체 관계자도 “극의 구성엔 일부 아쉬운 점이 있지만, 예술이 AI를 만났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지 알아보는 시도 자체가 중요한 일”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카카오브레인의 AI도 마찬가지입니다. 일단은 AI 기술을 고도화해 일상생활에서 편의를 제공하는 게 주요 목표입니다. 부차적으로 AI를 통한 시 프로젝트 등을 펼치는 것도 보다 인간다운 AI를 만들어 사람의 삶을 더 낫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앞으로 AI가 사람의 마음을 울리는 시까지 쓸 수 있을까요. 그리 어렵지 않을 수도 있겠습니다. 한 개발자는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느끼는 것을 다룬다면 공감을 얻기가 쉬울 텐데, AI는 막대한 데이터를 빠르게 학습해 이같은 보편성을 결과값으로 낼 수 있다"며 "카카오브레인 등이 파포스 프로젝트의 피드백을 반영해 AI 모델을 추가 학습시키기만 하면 되는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개발자의 말이 맞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초등학생의 단순한 경험(데이터)만으로도 시로 풀어내 사람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으니까요. 반면 인간의 감정은 아직 AI가 따라할 수 없는 인간 고유의 영역이라는 반론도 만만찮습니다. 언젠가는 AI가 이런 시를 쓰는 날이 올 지 궁금해지네요.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4.03.29(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