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스타+

‘이타미 준의 바다’, 시간의 온기가 촉촉이 배어든 건축과 마주하다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텐아시아=박미영 기자]
영화 ‘이타미 준의 바다’ 포스터.

영화 ‘이타미 준의 바다’ 포스터.

재일 한국인 건축가 유동룡(1937~2011). 도쿄에서 태어난 유동룡은 몸이 약한 아들을 걱정한 부모의 배려로 바다의 마을 시미즈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게 된다. 그는 울적할 때도 즐거울 때도 늘 자전거를 타고 바다를 보러 갔다. 그리고 귀화는 절대 안 된다는 부모의 뜻을 이어받아 대학교까지 본명으로 다녔다. 그는 건축가로 활동하면서 일본에는 없는 활자 유(庾)를 대신할 예명 ‘이타미 준’을 만든다. ‘이타미’는 한국을 올 때 이용했던 공항에서, ‘준’은 절친한 음악가 길옥윤의 예명 ‘요시아 준’에서 따왔다.

이타미 준은 ‘건축은 여행’이라는 생각에 고건축물을 찾아다녔고, ‘건축은 물질’이라는 생각에 흙에서 건축에 대한 실마리를 얻고 소재가 가지고 있는 힘을 충분히 살린 공간을 지었다. 그와 시간을 함께한 사람들은 이타미 준을 대단히 특별한 감성을 지닌 사람, 따뜻한 인간미를 품은 사람, 그늘 속의 다양한 빛을 보는 눈이 있는 사람으로 표현하기도 했다.

영화 ‘이타미 준의 바다’ 스틸컷.

영화 ‘이타미 준의 바다’ 스틸컷.

‘이타미 준의 바다’는 세계적인 건축가 이타미 준의 삶과 철학을 담은 다큐멘터리다. 중앙대학교에서 영화 연출을,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건축대학원에서 ‘건축과 영상’을 공부한 정다운 감독은 사려 깊은 연출로 뭉클한 순간을 선사한다. 배우 유지태의 내레이션, 재일 한국인 음악가 양방언과 가수 최백호의 음악도 그윽한 울림을 전한다.

스크린에 이타미 준의 건축물이 등장하는 매 순간 눈길을 사로잡지만, 특히 재건축할 계획이었던 곳의 벚나무 두 그루를 살리기 위해 교토에서 대나무를 실어와 벚나무와 대나무의 건축으로 완성한 ‘먹의 공간’(1998)은 마음을 사로잡았다. 그의 표현처럼 시간의 맛이 더해졌고, 그의 바람처럼 자연 본래의 야성미가 있는 건축이었다.

평생 한국 국적을 유지했던 이타미 준-유동룡은 일본에서는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한국에서는 재일교포라는 이유로 그 어디에도 섞이지 못하는, 경계에 서있는 이방인의 삶을 살았다. 건축가이지만 도공의 마음으로, 석공의 마음으로 건축에 임했던 그가 엄청난 산고를 통해 탄생시킨 건축물은 뿌리를 내렸다. 그곳에서 살고 있는, 혹은 그곳을 보러 온 이들의 마음속에.

‘이타미 준의 바다’를 본 관객은 그가 한국에 남긴 건축물을 찾으러 다닐 듯싶다. 온양미술관(1982), 포도호텔(2001), 수풍석미술관(2006), 두손미술관(2007), 방주교회(2009)를. 그리고 시간의 온기가 촉촉이 배어든 건축과 마주할 것이다.

8월 15일 개봉. 전체 관람가.

박미영 기자 stratus@tenasia.co.kr

오늘의 신문 - 2024.04.25(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