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년 7월 호주 브리즈번에서 타일공으로 근무를 시작한 김주현(28) 씨의 사례다. 김씨는 대전보건대 패션코디컬러리스트과를 중퇴하고 호주로 건너왔다.
-자기소개를 해 달라.
“현재 호주 브리즈번에서 2년차 타일공으로 일하고 있는 스물여덟 김주현이다. ‘짝주’라는 이름으로 유튜브도 운영 하고 있다.”
-해외취업을 결심하게 된 계기는.
“군 제대 후 호주로 워킹홀리데이를 왔었는데, 영어를 잘 못해서 케언즈 바나나농장에서 일하며 고생을 많이 했다. 일 년 반을 일하고 귀국했더니 한국의 삶은 더 바빴다. 문득 호주가 너무 그리워 1년 만에 다시 돌아오게 됐다. 바나나농장에서 만난 아내도 나와 같은 생각이어서 같이 호주행을 결심했다.”
-해외취업을 위해 어떤 준비를 했나.
“따로 준비한 건 없다. 경력이라고 해봐야 대학 중퇴에 호주 바나나농장에서 일한 경험과 동대문 가방도매시장에서 매니저로 일 년 동안 일한 게 전부다. 호주에서 쓸 수 있는 경력도 아니다. 경력을 살린다기보다 호주에서 살고 싶은 마음이 더 커 호주에서 일을 찾아보자는 생각으로 갔다. 스시집 주방에서 일 년 정도 일 했는데, 잘 안 맞았더니 타일 일은 괜찮아서 계속 하고 있다.”
-해외에서 일하면서 만족스러운 점, 힘든 점이 있다면.
“낮에 일하고 해가 지기 전에 끝난다는 게 좋다. 보통 아침 7시에 시작해 오후 4시 반에 퇴근한다. 축구를 좋아하는데 호주에 온 3년 전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주 2회 축구를 하고 있다. 호주에서 타일공은 교육기간이 짧고 보수가 괜찮은 편이다. 1년 정도 일을 배우면 2년차부터는 혼자서도 현장을 책임질 수 있다. 브리즈번 기준으로 타일경력이 전혀 없는 경우 일당 160 달러를 받았고, 2년차인 지금은 일당으로 300달러 정도 받는다. 힘든 점은 역시 외로움과 그리움이다. 한국에 있는 가족과 친구들을 보지 못한다는 게 힘들다.”
-해외취업의 오해와 진실이 있다면.
“해외취업이라고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걱정하는 부분이 언어일 것이다. 한국에서도 말을 잘해야 하는 직업이 있고 아닌 직업이 있다. 호주에서도 똑같다. 타일공으로 타일만 잘 붙이면 말을 할 필요가 없다. 간단한 장난에 대답할 수 있는 영어만 필요할 뿐이다. 본인이 하고자 하는 일이 요구하는 언어만 구사할 수 있으면 된다고 생각한다. 타일공이 3D 업종이라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곳은 항상 기술자가 부족하다보니 보수가 높고 대우가 좋다. 힘든 면도 있지만 한국처럼 이미지가 나쁘지는 않다.”
-해외취업을 희망하는 이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면.
“본인이 손재주가 어느 정도 있고, 호주에서 살고 싶은 마음이 있다면 과감한 선택을 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한국에서는 육체노동을 천시하는 풍조가 있지만 호주는 그렇지 않다. 무조건 사무직을 고집하기 보다는 본인의 흥미에 맞는 일을 하는 것도 좋다고 본다. 워킹홀리데이 기간을 포함해서 지금까지 호주에 산지 4년 정도 되었다. 호주에서 지내는 것은 잊지 못할 추억이었기 때문에, 중간에 한국에 갔지만 다시 돌아왔고, 앞으로도 계속 살 생각이다. 워킹홀리데이 비자는 나이제한이 있으니 늦기 전에 꼭 한 번 사용해 보길 권한다.” (끝) / khm@hankyung.com (출처 캠퍼스 잡앤조이에서 더 많은 사례를 볼 수 있습니다. 바로 가기 https://buff.ly/2I0emPC )
(강홍민 기자 캠퍼스 잡앤조이 기자 / 강성근 대학생 기자) 국내 취업시장이 갈수록 힘들어지고 청년 실업률이 점점 증가하면서 해외 취업으로 눈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