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취재 뒷 얘기

한국은행이 평판 관리에 애쓰는 이유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김은정 경제부 기자) 직장인의 평판과 업무 성과는 어떤 상관 관계가 있을까요. 대개 ‘업무 성과가 좋으면 직장 내에서 평판이 좋다’는 답이 나올 겁니다.

하지만 통화정책을 담당하는 중앙은행에는 반대의 인과관계가 성립되나 봅니다. 한국은행이 28일 내놓은 ‘중앙은행 평판과 정책 성과’를 보면 그렇습니다.

한은 미시제도연구실은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이 62개국 고위 경영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이용해 중앙은행 평판과 통화정책 성과간 연관성을 조사했습니다. 중앙은행의 평판이 통화정책의 성과를 결정짓는 데 중요하다는 이론 연구는 사실 꽤 있었습니다. 하지만 평판이란 걸 측정하는 게 쉽지 않아 실증 연구는 없었거든요.

한은의 분석 결과 중앙은행 평판이 높을수록 물가상승률이 하락하거나 물가안정 목표제에 잘 안착하는 등의 정책 성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평판 수준을 최저 0에서 최고 10으로 잡았을 때 평판이 1만큼 높아지면 물가상승률은 약 1.1%포인트 안팎 하락한다는 결과가 나온 겁니다.

특히 물가안정 목표제를 도입하지 않은 국가에서 더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물가상승률이 5% 이하로 유지되는 이른바 ‘저(低)물가 국가’에서도 중앙은행 평판이 물가상승률 안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중앙은행 평판은 총재 교체 빈도가 적어 독립성 정도가 높을수록, 시장과 커뮤니케이션 횟수가 많을수록, 물가안정 목표제를 도입한 국가일수록 높게 나타났고요.

한은은 중앙은행 평판이 높을수록 기대인플레이션과 물가목표간 차이가 적게 나타났다고 설명했습니다. 중앙은행에 대한 신뢰 수준이 높으면 기대인플레이션이 물가목표에 잘 안착하는 경향이 있단 의미입니다.

이 연구가 중앙은행 평판이 물가 변동성이나 실업률에 미치는 효과를 제대로 파악해내진 못했지만 중앙은행 평판이 거시경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통화정책의 유효성을 높이기 위해 고민하고 있는 한은에도 시사하는 바가 클 겁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달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하면서 기자들에게 “통화정책의 유효성을 제고하기 위해 정책 운영체계나 수단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말을 하기도 했습니다. 한은 내부에서는 이 때문에 각국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의 유효성을 높이기 위해 취하고 있는 다양한 방안들을 수집 및 검토해보고 있습니다.

다른 중앙은행이 실행하고 있지만 한은이 아직 도입하지 않은 수단은 무엇이 있는지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 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 강화도 하나의 방안으로 고려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은 내부의 단계적인 의사결정 진행 과정이나 경기에 대한 인식 등을 지금보다 더 많이 시장에 정보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등을 고민하고 있는 것이죠.

물론 ‘무작정 많은 정보를 시장에 제공하는 게 과연 중앙은행에 대한 신뢰도 제고에 도움이 되겠느냐’ ‘오히려 향후 통화정책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지 못하고 ‘노이즈’만 생산하는 것 아니냐’ ‘시장의 혼란만 부추기는 것 아니냐’ 등의 우려와 지적도 함께 고려하면서 말입니다.

중앙은행 평판과 통화정책 성과간 상관관계가 어느 정도 밝혀진 만큼 평판 관리를 위한 한은의 고민과 노력도 계속될 듯 합니다. (끝) / kej@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4.03.28(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