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취재 뒷 얘기

올해 세계 금융시장을 뒤흔들 주요 변수는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김은정 경제부 기자) 올해 세계 경제는 선진국의 수요 확대에 기반한 교역 증가와 투자 회복 등으로 호조세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많습니다. 하지만 세계 금융시장의 변동성은 확대될 것이란 관측이 많습니다. 미국을 비롯한 주요 선진국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속도를 내고 있는 점이 크게 작용하고 있지요. 국제금융센터가 꼽은 올해 세계 금융시장의 주요 리스크 요인을 살펴보면 좀 더 이해하기 쉬울 듯 합니다.

국제금융센터는 세계 금융시장의 불안을 가중시키는 시나리오 중 하나로 선진국으로 대규모 자금 이동을 꼽았습니다. 특히 중국의 신용 거품(버블) 붕괴 등이 현실화하면 신흥국 자산 투자(sell-off)가 증가할 수 있다고 봤습니다.

작년에 미국 달러화는 10% 평가 절하됐습니다. 하지만 올해는 달러화가 강세로 돌아설 수 있습니다. 미국의 감세 조치로 해외로 나갔던 기업들이 돌아오고 본국 송금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이 확대되면서 미국 중앙은행(Fed) 금리 인상 폭이 예상보다 커질 수 있습니다.

지금은 실업률에 비해 임금상승률이 미약한 편이지만 저(低)임금 일자리가 채워진 후 상승 폭이 점차 확대되고, 이에 따른 물가 상승 땐 금리 인상 기대가 높아질 수 있다는 논리입니다. 이렇게 되면 신흥국은 달러화 자금 유출과 위험 회피(risk off) 심리 심화로 불안해질 수 있습니다. 달러화 단기 조달금리 상승도 예상해볼 수 있죠.

중국의 신용 불안도 큰 변수입니다. 중국당국의 지방 정부채 보증 중단과 예상치를 밑도는 성장률 등에 전 세계 투자자들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국내 시장금리 상승 등으로 부외부채가 부실화하고 있습니다. 총 254조위안으로 국내총생산(GDP)의 341%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중국의 작년 경기 호조는 인프라 투자(전체 고정투자의 56%)와 부동산 경기 호황 등에 기인한 측면이 큽니다. 인프라 투자를 주도했던 지방정부 차입에 제동이 걸리고, 부동산 투기 억제책(세제 강화 등)이 나올 경우 성장세 둔화 폭이 커질 소지가 있답니다.

유럽중앙은행(ECB)의 긴축도 속도를 낼 전망입니다. 마이너스 금리 장기화에 따른 부작용을 감안해 양적완화 종료와 정책금리 인상이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특히 연 -0.40%인 예치금리는 예금생활자의 소득을 줄이고, 은행의 대출여력을 축소시키는 배경이 되고 있어 양적완화 종료 전후 인상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본은행(BOJ) 역시 7분기 연속 성장률 증가세와 실업률 하락, 임금상승률 개선 등에 힘입어 출구전략에 시동을 걸고 있고요.

국제금융센터는 주택가격 불안도 주요 변수로 보고 있습니다. 최근 일부 선진국 주택가격이 하락 전환했습니다. 낙폭이 확대되고, 인접국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 고(高)레버리지(차입) 국가의 금융안정이 위협받을 수 있습니다.

실제 작년 하반기 스웨덴, 노르웨이 주택가격이 각각 4.5%, 2.4% 하락했습니다. 그간 상승폭이 컸던 덴마크,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등에서도 가격 하락 예상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주택가격 하락이 지속되면 해당 국가의 가계소비가 위축되고, 은행주 하락, 통화 약세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대(對) 신흥국 무역제재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주요국의 보호무역조치가 강화되는 가운데 신흥국을 대상으로 무역구제 조치가 집중되면 경상수지 악화와 투자자금 유출이 이어지게 됩니다. 미국 관세율이 10%포인트 상승하면 글로벌 교역량이 0.3%포인트 축소된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국제금융센터 관계자는 “세계 거시경제 전망에 비춰볼 때 신흥국으로부터의 대규모 자금 유출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리스크 요인들간 상호연계성이 높은 만큼 예상치 못한 돌발상황 발생 가능성에 적극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하더라고요. (끝) / kej@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4.03.28(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