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취업과
창업

인사담당자 83.4% “지원자 학력사항 본다”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이신후 캠퍼스 잡앤조이 인턴기자) 문재인 정부가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 방식을 시행한 가운데, 채용 현장에서는 여전히 지원자의 학력사항을 여전히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인사담당자 74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83.4%가 ‘인재 채용 시 지원자의 학력사항을 확인한다’고 답했다. ‘확인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16.6%에 그쳤다. 5명 중 4명의 인사담당자가 지원자의 학력을 확인하는 셈이다.

이 같은 결과는 지원자의 최종 학력이 실제 업무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인사담당자에게 ‘직원의 최종 학력이 실제 업무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가’를 묻자, 58.7%가 ‘어느 정도 영향이 있다’고 대답했다. ‘매우 영향이 있다’는 응답도 9.5%에 이르렀다. 반면 ‘별로 영향이 없다’는 응답은 27.1%, ‘전혀 영향이 없다’는 4.7%를 차지했다.

또한, 최종 학력이 업무능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인사담당자일수록 학력사항을 확인하는 비중이 높았다. ‘매우 영향이 있다’와 ‘어느 정도 영향이 있다’고 답한 인사담당자 그룹에서 학력사항을 확인하는 비중은 각각 97.2%, 93.6%로 매우 높았던 반면, ‘별로 영향이 없다’고 답한 인사담당자 그룹에서는 62.4%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러나 ‘전혀 영향이 없다’고 응답한 인사담당자 그룹에서도 절반을 못 미치는 48.6%가 ‘학력사항을 확인한다’고 밝혀 눈길을 끌었다.

인사담당자들이 학력사항을 확인하는 이유 중 ‘지원자의 학교생활 및 삶의 태도를 확인할 수 있어서(25.7%)’와 ‘직무를 수행하는 데 더 유리한 과목이나 전공이 있어서(22.2%)’를 각각 1, 2위로 꼽았다. 또 ‘비슷한 지원자 중 변별력이 없을 때 최종 판단의 근거로 활용하기 위해서(15.8%)’, ‘직무수행을 위해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과목이나 전공이 있어서(14.8%)’, ‘학력이나 스펙이 뛰어난 지원자가 일도 더 잘할 거라는 기대가 있어서(9.0%)’ 등도 학력을 확인하는 주요 이유로 꼽혔다.

주로 확인하는 학력사항은 ‘최종학력’이 75.4%의 응답률을 얻어 1위에 올랐다. 2위는 72.0%의 높은 응답률을 얻은 ‘전공 분야’였다. 이어 출신학교 및 소재지(42.9%), 전체 학점·평점(37.0%), 입학·졸업 시기 및 졸업에 걸린 시간(18.3%), 특정 과목 수강·이수 여부(12.7%), 특정 과목 학점(12.2%)도 확인한다고 답했다.

지원자의 학력사항을 확인하지 않는다고 밝힌 인사담당자 중 31.5%는 ‘지원자의 학력, 출신학교가 업무능력과 무관하다고 생각해서’를 꼽았다. ‘학력보다는 인성, 실무 능력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서(29.0%)’도 상위권을 차지했다. 또 ‘능력 있는 지원자를 학력이라는 선입견에 놓칠까봐(16.9%)’가 3위, ‘학력 및 출신학교에 따른 차별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해서(10.5%)’가 4위에 올랐다. ‘별로 중요한 항목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서(6.5%)’, ‘회사의 채용 정책으로 인해서(3.2%)’, ‘학력을 보고 뽑았던 직원에게 실망했던 경험, 전례가 있어서(2.4%)’ 등의 응답도 이어졌다.

한편 7월초 잡코리아가 인사담당자 418명을 대상으로 ‘블라인드 채용 도입에 대한 의향’을 조사한 데 따르면, 인사담당자 80.9%가 ‘학력, 스펙 등 차별적 판단요소를 배제하는 블라인드 채용 도입에 찬성한다’고 답한 바 있다. (끝) / sinoo@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4.03.28(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