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글로벌 브리핑

꺼져가던 불씨 살아난 미국 바켄 셰일오일 지대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트럼프 공약은 축복의 메시지"

배후도시 윌리스턴 "손님 맞을때"

미국 노스다코타주 북서쪽에 있는 바켄지대는 미국 2위, 세계 12위의 셰일오일 지대다. 하루 100만배럴 이상의 셰일오일이 생산된다. 1951년 땅 주인 헨리 바켄이 처음 유전을 발견해 이름 붙였다.

바켄의 배후 도시 윌리스턴은 2014년 말까지 가장 잘나가는 도시 중 하나였다. 2010년 1만2000여명이던 인구는 셰일오일 생산이 늘어나면서 2014년 3만8000여명으로 증가했다. 가구당 소득 증가율도 미국 전역에서 가장 높은 도시였다.

윌리스턴에서 목회 활동을 하는 박유수 목사는 “개발 붐이 일 당시 유전지대에서 일하는 젊은 층의 평균 연봉이 12만~15만달러였고, 월마트 파트타임 직원도 시간당 18달러를 받았다”고 회고했다. “갑자기 늘어난 인구 때문에 호텔과 아파트 건설이 활황이었고, 가는 곳마다 돈이 차고 넘쳤다”고 했다.

한국의 조그만 읍내처럼 보이는 시내를 세 블록 벗어나면 바로 황량한 벌판인데도 침실 두 개짜리 아파트 월세가 3000달러까지 치솟았다. ‘윌리스턴에서는 지나가는 강아지도 100달러 지폐를 물고 다닌다’는 우스갯소리가 나왔다.

하워드 클럭 윌리스턴 시장은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 선에서 절반으로 뚝 떨어지면서 지역이 된서리를 맞았다”고 말했다. 지난해 배럴당 20달러대까지 유가가 떨어지자 인구 3분의 1이 빠져나가면서 도시가 무기력에 빠졌다.

시정부는 활황으로 거주 인력이 늘어나자 상수도부터 오물 처리, 학교·병원 등 기본 인프라 확충을 위해 3억달러 규모의 채권을 발행했다. 이는 국제유가 하락을 계기로 모두 부메랑이 됐다. 인구 유출로 아파트와 호텔, 식당 등 서비스업이 큰 타격을 받고 시 재정은 어려워졌다.

클럭 시장의 얼굴이 다시 밝아진 것은 지난해 11월 도널드 트럼프 후보가 당선되면서다. 셰일오일 개발 관련 규제를 완화하겠다고 공약했기 때문이다. 작년 11월 말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의 감산 합의에 따라 국제유가도 배럴당 50달러대로 회복했다. 클럭 시장은 이를 두고 “축복의 메시지”라며 “손님 맞을 준비를 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윌리스턴=박수진 특파원 psj@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4.04.24(수)